[웹디자인 필기] 1번째 과목 - 디자인 개론 - 정리(5)
색의 대비
(1) 동시 대비 : 인접되어 있거나 다른 색 안에 놓여 있는 두 가지 색을 동시에 볼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인접되어 있는 색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효과가 커진다.
- 색상 대비 - 명도와 채도가 비슷한 두가지 이상의 색이 인접해 있을 때, 색상의 차이가 커보이는 현상이며, 반대색이거나 보색일 경우에 더욱 크게 나타난다. 인접해 있을 수록 대비 현상이 뚜렸해진다.
- 명도 대비 - 명다가 다른 두 색이 서로 영향을 받아 명도가 다르게 느껴지는 현상이며, 두 색의 명도차가 클 수록 대비 효과가 커진다. 명도 대비는 유채색과 무채색 모두에서 일어난다. 가장 눈에 자극이 강하다.
- 채도 대비 - 명도는 비슷하지만 채도가 다른 두 색이 서로 영향을 받아 차이가 나는 현상이다. 무채색 속의 유채색은 채도가 더욱더 높아보인다.
- 보색 대비 - 색상환에서 정 반대에 위치한 두 색상이 인접해 있을 때에 서로의 영향을 받아 채도가 높고 선명해 보이는 현상이다. 보색대비에서는 주목성과 명시성이 나타난다.
- 연변대비 - 경계선 부분에서 색상대비, 명도대비, 채도대비가 더욱 더 강하게 일어나는 현상이다. 경계대비라고도 말을 하며 유채색 끼리 색상별 나열이나 무채색 끼리 명도별 나열에서 잘 나타난다.
(2) 계시 대비 : 색상을 보고도 일정한 시간 후에 느껴지는 대비효과로 계속 대비라고도 하며 일종의 소극정 잔상 효과이다. 예를 들어 초록색 배경에 있는 회색 사각형을 계속 응시하다가 흰색 배경을 바라보면 붉은 바탕 안의 녹색 사격형으로 보이게 된다.
(3) 한난 대비 : 차가운 색과 따뜻한 색을 배열 할 경우 차가운 색은 더 차갑게, 따뜻한 색은 더욱 따뜻하게 느껴지는 대비효과를 뜻하며, 중성색은 차가운 색에 둘러싸여 있으면 더 차갑게 느껴지고, 따뜻한 색에 둘러 싸여 있으면 더욱 따뜻하게 느껴진다.
(4) 면적 대비 : 면적 크기에 따라 색이 다르게 느껴지는 현상이다. 면적이 큰 도형은 면적이 작은 도형보다 명도와 채도가 더 높게 느껴지고, 면적이 작은 도형은 실제보다 채도가 더 낮게 느껴진다.
색의 감정적인 효과
(1) 온도감 : 색을 통해 느낄 수 있는 온도등등 이다.
(2) 중량감 : 색에서 느껴지는 무게감이며, 명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명도가 높으면 가벼워 보이며 낮으면 무거워 보인다.
(3) 강약감 : 색에서 느껴지는 강하거나 약한 느낌이며, 채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원색이나 채도가 높은 색은 강하게 느껴지며 반대는 약하게 느껴진다.
(4) 흥분감/진정감 : 난색계열과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은 흥분감을 일으키고 화려하게 느껴진다. 반대는 차분하고 진정감과 소박함을 느낄 수 있다.
색의 지각적인 효과
(1) 동화 현상 : 대비와는 달리 오히려 주변색에 가깝게 느껴지는 현상.
- 다른 색의 영향을 받아 인접되어 있거나 둘러 싸여 있는 색상과 빗스하게 보이는 것으로 자극이 지속되는 잔상 효과.
(2) 잔상 효과 : 망막이 느낀 자극이 계속 남아 있어 지속적으로 형상이 남는 효과이다.
- 긍정적(양성, 정의) 잔상 - 명도와 색상에 대한 지극이 그대로 지속됨.
- 소극적(음성, 부의) 잔상 - 색상, 명도, 채도가 반대로 느껴짐.
(3) 주목성 : 색 자체가 명도나 채도가 높아서 시각적으로 빨리 눈에 띄는 성질이다.
- 난색이며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일수록 주목성이 높음.
- 배열에 있어서는 보색배열, 자극이 강한 빨간색과 흰색의 배열, 노랑과 검정의 배열에서 주목성이 높아짐.
- 표지판, 표시와 기호등에 사용함.
(4) 명시성 : 가시성, 시인성이라고도 불리며 먼 거리에서도 잘 보이는 성질이다.
- 두 가지 색 이상을 배열했을 때 나타남.
- 색상 , 명도, 채도의 차이가 클수록 명시성이 높아짐.
- 검정과 노랑색의 배색은 명시성이 높은 배색으로 교통 표지판에 많이 활용.
(5) 진출색 / 후퇴색 : 앞으로 진출하거나 뒤로 후퇴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색이다.
- 난색,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은 진출.
- 한색, 명도와 채도가 낮은 색은 후퇴.
(6) 팽창색 / 수축색 : 확산되어 보이는 색과 작아보이는 색을 의미한다.
- 난색,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은 팽창.
- 한색, 명도와 채도가 낮은 색은 수축.
색상 |
연상과 상징 |
긍정적, 부정적 효과와 치료 |
빨강 |
태양, 불, 단풍, 일출, 성숙, 정렬, 유혹, 호화, 강렬, 화력, 위험,적극, 애정, 순교, 정지 |
식욕 자극, 빈혈, 활력, 분노의 유발 |
주황 |
석양, 감, 가을, 풍부, 원기, 온화, 만족, 즐거움, 기쁨, 초조, 질투 |
자긍심, 원기회복, 무기력, 생리불순, 빈혈, 감기의 치료, 불안감 |
노랑 |
개나리, 바나나, 광명, 명랑, 희망, 환희, 금지선, 주의표시, 상상력, 신맛 |
식욕을 돋우는 기능, 피로 회복, 빈혈의치료, 초조감, 신경질 |
연두 |
잔디, 새싹, 자연, 이른 봄, 위안, 생명, 찬애, 청순, 순진, 안전, 신선 |
위안의 기능, 피로회복, 강장 |
녹색 |
숲, 에메랄드, 보리밭, 엽록소, 여름, 평화, 안전, 휴식,신선, 관대, 쓴맛 |
불면증, 불안감해소, 눈의 피로회복, 구급, 구호 |
청록 |
하늘, 바다, 여름, 찬바람, 냉정, 냉담, 심미, 청결 |
조용함, 안도감, 두통감소 |
파랑 |
바다, 물, 사파이어, 여름, 시원함, 생쾌, 성실, 냉정, 차가움, 추위, 생동감, 명상, 젊음, 쓴맛, 우울 |
맥박 저하, 자신감, 불면증 감소, 피로회복, 창의력, 식욕 저하 |
남색 |
깊은 밤, 신중, 점잖음, 영원, 무한, 침울, 냉철, 직관, 훈련 |
창조력 향상, 침체 야기, 정신적인 피로 |
보라 |
포도, 예술, 창조, 신비, 고귀, 화려, 위엄, 실망, 고독, 상한 음식, 감수성 |
신앙심 유도, 감수성 자극, 불안감 유발, 식욕저하 |
자주 |
사랑, 연모 예술적 기질, 아름다움, 발정, 슬픔 |
노이로제 야기 |
흰색 |
온화, 수수, 평범, 소박, 죄를 사함, 청결, 거울, 눈 , 살균, 신성 |
조화의 효과, 다른 색과 함께 쓰이면 시선 집중의 효과 |
회색 |
공장, 도시적, 미래적, 테크노, 겸손, 온화, 중립, 수수, 평범 |
우울한 분위기 야기 |
검정 |
주검, 밤, 탄것, 엄숙미, 무게감, 위험, 침묵, 애도, 부정, 죄, 죽음, 공포, 절망 |
심신의 피로야기, 위험과 슬픔, 우울증 |